금융 & 주식 / / 2020. 3. 18. 18:11

좋은사람들 주가 이너웨어 산업의 현주소


코스피 지수가 1600선 아래로 내려간 가운데 대형주 들이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주가 침체기에 들어가는 형국이다. 하지만 이와중에도 코로나 관련 주들은 번갈아 가며 상한가를 달성하며, 개미지옥을 양성중이다. 이럴 때 일수록 단기간의 주가 등락에 일희일비 하지말고, 시장을 좀 더 멀리서 관망할 필요가 있다. 



3월 18일자로 상한가를 달성한 종목에 좋은사람들이 이름을 올렸다. 이너웨어를 판매하는 기업인데, 왜 그런고 연유를 살펴보니 지난 16일 좋은사람들이 손소독제 전문기업을 비롯한 마스크 제조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맺어 자사가 보유한 전국 매장에 별도로 위생용품 코너를 마련하고,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판매할 계획이라는 뉴스가 보도되었다. 그래서 오늘은 좋은사람들이라는 기업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려고 한다.


좋은사람들은 1991년 언데웨어 브랜드인 제임스딘 런칭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런칭한 이후 1993년 좋은사람들 법인을 설립, 1995년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속옥인 보디가드를 런칭하며 광고 흥행을 업고 크게 성장하여 1997년 코스닥에 상장된다. 이후 물류센터 확장 및 DAS(Digital Assort System) 시스템 도입 등 사세를 확장하여 국내 속옷 프랜차이즈 형태로 시장에서 점유율을 계속 높여 나갔다.


2004년 속옷브랜드인 Yes를 런칭하고, 이듬해인 2005년 섹시쿠키를 연달아 런칭하면서 젊은 소비층을 타겟으로 하여 대대적인 홍보마케팅을 펼쳤다. 당시로서는 새롭고 감각적인 디자인을 강조하며,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2000년대 까지만 해도 탄탄대로를 걷는 듯했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로 위기가 찾아온다.


2013년 예스 말레이시아 1호점 런칭 이후 2014년 인도네시아 1호점, 말레이시아 2호점을 개설하며,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꾀하게 되지만 2016년 이후로 2년 연속 40억대의 적자를 기록하면서 회사 내에서도 적지않은 타격을 입는다. 적자가 난 이유는 크게 2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한 매출원가의 급격한 상승이다. 속옷이나 신발과 같은 단순 제조업은 대단한 기술력을 요하는 산업은 아니다보니 대부분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같이 인건비가 비교적 저렴한 공장에 수주를 넣어 OEM방식으로 제조가 된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에 이러한 나라들의 경제 수준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인건비 또한 빠른속도로 올랐다. 국내만 해도 2015년 대비 2020년 현재 최저시급이 50%이상 상승한 상태인데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해외 공장의 인건비는 감당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사실 좋은사람들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이미 2010년을 전후로 하여 평균 1~2%대로 하락한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 노동력의 비중이 높은 제조산업의 경우 매출원가가 조금만 증가하더라도 영업이익은 바로 마이너스로 돌아서게 된다. 좋은사람들 역시 이러한 급작스러운 시장의 변화를 빠른 시간안에 해결하지는 못하였을 것이고, 최근 경영진의 교체를 통해 변화를 꾀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두 번째로는 시장의 급격한 변화이다. 이미 국내 시장은 어떤 산업이든 대부분 포화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나 속옷이나 의류 브랜드의 경우 10년전과 비교하여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브랜드가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시장의 판도가 역전되기 시작했다. 인터넷을 통해 소비자들이 다양한 브랜드로의 접근성이 편리해졌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에서도 시장 성장의 한계성이 드러나기 시작했으며, 간혹 마케팅 채널을 통해 특정 아이템이나 브랜드가 수면위로 두드러 지는 경우가 있으나, 유행의 속도라는 파도에 밀려 금방 다시 가라앉는 경우가 태반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단순 제조업에서 산업의 변화를 꾀하는 방법은 쉽지가 않다. 단순히 새로운 브랜드를 런칭하고 마케팅에 공을 들인다해도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할 리스크가 옛날에 비해 훨씬 증가했다. 좋은사람들이 해외 시장개척 뿐만아니라 속옷시장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여 이러한 위기를 잘 극복하기를 바란다.


*해당 글은 글쓴이의 주관적인 생각이 포함된 글입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